상법 관련주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직후 기업 지배구조 개선소액주주 권익 보호를 핵심 국정과제로 내세우며, 상법 개정안 재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주요 골자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사의 충실 의무 대상 확대 (회사 → 회사 및 주주)

  • 전자 주주총회 제도 강화

  • 감사위원 분리 선출 의무화

  • 집중투표제 의무화

  • 자사주 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 촉진

이러한 개정안은 저평가된 지주회사·금융지주·고배당 기업군의 가치 재평가를 유도하며, IT 기반 전자총회 솔루션 기업에도 수혜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습니다.


한화

1. 기업 개요

한화(주)는 1952년 설립된 종합 화학·방산·금융·에너지 그룹으로, 국내 10대 재벌 중 하나입니다.
1980~90년대 중공업·건설 분야에 진출했고, 최근에는 태양광·우주산업·AI 기반 방산 시스템 등 미래 산업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하고 있습니다.

지주사인 한화(주)를 중심으로 한화솔루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생명, 한화오션 등의 주요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계열사 / 내용
방산·우주항공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한화디펜스 – 엔진·미사일·레이더·위성·무인체계 개발
화학·에너지 한화솔루션 – 석유화학, 태양광(큐셀), 수소,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전방위 확대
금융 한화생명, 한화손해보험, 한화투자증권 – 보험 및 증권 등 종합금융 포트폴리오
조선·중공업 한화오션(구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 방산+조선 시너지 확보
유통·서비스 갤러리아백화점, 한화호텔앤리조트 – 고급 유통 및 레저 운영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우주항공·방산 사업 강화

  • 누리호 발사체 참여, 항공기 엔진 및 위성사업 확대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중심으로 미국·동남아 수출 본격화


태양광·수소 중심 에너지 전환

  • 한화솔루션, 미국 IRA 수혜… 큐셀 모듈 점유율 1위

  • 수소 혼소터빈, 재생에너지 ESS 개발 등 선도


조선업 재진입

  • 한화오션 인수로 방산·조선 연계

  • 고부가 LNG선·잠수함 수주 확대 전략


지배구조 재편과 상법 개정 수혜 기대

  • 지주사 체제 강화, 자사주 활용 여지 확보

  • 소액주주 권익 강화 및 ESG 평가 우수


한화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CJ 

1. 기업 개요

CJ(주)는 1953년 삼성그룹의 제일제당으로 출발해, 1993년 삼성에서 계열 분리되며 독립했습니다.
현재는 식품, 바이오, 물류, 미디어, 문화 콘텐츠 등 종합 라이프스타일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건강, 즐거움, 편리함"을 핵심 가치로 삼아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CJ(주)는 지주회사로서 CJ제일제당, CJ대한통운, CJ ENM, CJ올리브영, CJ CGV 등 주요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내용
식품사업 CJ제일제당 중심의 가공식품, 식자재, HMR, 비비고 등 글로벌 브랜드 육성
바이오사업 사료첨가제, 아미노산, 효소 등 고부가 바이오소재 제조 및 수출
물류·유통 CJ대한통운 중심의 국내외 물류, 올리브영 통한 헬스&뷰티 유통
미디어 콘텐츠 CJ ENM 통해 드라마, 영화, 음악, 예능, OTT(티빙) 콘텐츠 제작·유통
엔터·영화관 CJ CGV를 통해 국내외 멀티플렉스 극장 운영 및 콘텐츠 배급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K-콘텐츠 수출 강화

  • CJ ENM, 미국·동남아 콘텐츠 투자 확대

  • OTT 플랫폼 ‘티빙’ 확장 및 글로벌 전략적 제휴 모색

  • 영화·드라마 판권 매출 비중 증가


바이오 및 헬스케어 식품 성장

  • CJ제일제당, 건강기능식품·헬스케어 소재 개발 강화

  • 장 건강, 면역기능 등 맞춤형 식품 제품군 확대


물류·유통 구조 개편

  • CJ대한통운, 택배 효율화 및 글로벌 물류 M&A 추진

  • CJ올리브영, 온라인몰 경쟁력 강화 및 해외 진출 가속


지배구조 개편 및 자사주 활용 기대

  • 상법 개정에 따른 전자투표·자사주 소각 가능성 확대

  • 일부 자회사 IPO 및 재무구조 개선 논의


CJ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SK

1. 기업 개요

지주사인 SK(주)를 중심으로 각 산업별로 계열사를 두고 있으며, 최근에는 넷제로·친환경, 반도체 소재, 바이오, 디지털 전환(AI 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내용
에너지·화학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온 등을 통한 석유·정유·배터리 산업 전개
반도체 소재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글로벌 Top 3 / SK실트론: 웨이퍼 제조
통신·ICT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5G·AI 서비스, 유무선 통신 플랫폼
바이오·제약 SK바이오사이언스, SK팜테코: 백신·CDMO 등 글로벌 진출 확대
투자 및 지주사 SK(주): 그룹의 투자 컨트롤타워, 첨단소재·바이오 등 신사업 투자 수행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넷제로 전환 및 친환경 투자 강화

  • SK이노, 배터리 분사(SK온) 및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 확대

  • RE100 이행, 수소·탄소포집(CCUS) 등 친환경 투자 본격화





반도체 투자 지속 및 글로벌화

  • SK하이닉스, AI 반도체용 HBM 생산 확대

  • 미국·대만 반도체 투자 및 공급망 다변화 대응


바이오·헬스케어 성장 전략

  • SK바이오사이언스, CDMO 역량 확대 및 백신 수출 강화

  • SK팜테코, 미국·유럽 시장 진출 위한 생산기지 확충 중


지배구조 투명성 제고

  • SK(주), 자사주 소각 등으로 주주친화 정책 확대

  • 상법 개정 수혜 기대: 전자투표, 집중투표제 강화 등 지배구조 재평가 요소 내재


SK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LG

1. 기업 개요

LG그룹은 1947년 락희화학공업사(현 LG화학)로 출발해, 전자·화학·통신·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한 국내 4대 대기업 중 하나입니다.
현재는 지주회사인 LG(주)를 중심으로 각 계열사가 독립 경영 체계를 운영하고 있으며, 전장(電裝), 배터리, 바이오, 친환경 소재를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계열사 및 내용
전자 LG전자: TV, 가전, 전장 부품 등 글로벌 시장 선도
화학·배터리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및 양극재 등 이차전지 소재 분야 글로벌 경쟁력
통신·IT LG유플러스: 유무선 통신, IPTV, 기업용 솔루션 등
생명과학·바이오 LG화학 생명과학사업부, LG CNS: 바이오 신약 개발, 스마트 헬스케어 확대
지주회사 LG(주): 자회사 관리 및 투자, ESG/미래신사업 총괄 조율 역할 수행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배터리 산업 확장

  • LG에너지솔루션, 북미·유럽 배터리 공장 증설

  • GM, 혼다 등과 합작법인 설립… IRA(미국 인플레감축법) 수혜 기대


전장 및 스마트 팩토리 강화

  • LG전자, VS사업본부(전장) 실적 개선 지속

  • 스마트홈·B2B 가전·산업용 로봇 등 신사업 강화


친환경 소재 및 탄소중립 전략

  • LG화학, 생분해성 플라스틱(PLA), 리사이클 PET 등 친환경소재 투자 확대

  • RE100 및 Scope 3(협력사 포함 탄소배출) 이행 본격화


지배구조 및 배당 정책 개선

  • LG(주), 자사주 소각 단행 및 배당 확대 등 주주환원 강화

  • 상법 개정안 수혜 기대: 집중투표제, 전자총회 등 도입에 긍정적


LG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LS

1. 기업 개요

LS(주)는 2003년 LG그룹에서 계열 분리되어 설립된 전선·전력·자동화·에너지 중심의 중후장대 산업그룹입니다.
지주회사인 LS(주)를 중심으로 LS ELECTRIC, LS MnM, LS전선, E1, YESCO 등 다양한 산업군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친환경 에너지 전환과 전력 인프라 확장을 핵심 전략으로 삼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계열사 및 내용
전선·케이블 LS전선: 초고압/해저 전력케이블, 통신케이블 등 국내 1위, 글로벌 점유율 상위권
전력기기·자동화 LS ELECTRIC: 전력기기·전력자동화·스마트그리드·태양광 인버터, 반도체 팹 자동화 시스템
비철금속·구리 제련 LS MnM (舊 LS니꼬동제련): 구리·귀금속·황산 등 비철금속 정제 및 재활용
배터리 소재 LS MnM, 이녹스첨단소재 등 통해 황산니켈, 전해동박, 전고체 배터리 소재 진출 확대
에너지 유통 E1: LPG 유통, 수소 인프라 구축, YESCO: 도시가스 사업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2차전지 소재 산업 확대

  • LS MnM, 고순도 황산니켈 및 전기동 확대 생산

  • 전기차·배터리·태양광 수요 증가에 따른 구리 사용량 급증

  • 전고체 배터리 전환 대비 신소재 기술 확보 중


해외 수출 확대 및 수주 호조

  • LS전선, 유럽·동남아 중심으로 초고압 케이블 및 해저케이블 수주

  • 유럽 HVDC, 일본 연계 송전망 등 글로벌 전력 인프라 수혜


스마트그리드 및 전력 반도체 확장

  • LS ELECTRIC, 스마트공장 자동화 솔루션·전력반도체 강화

  • 친환경 인버터 기술과 ESS 제어 기술로 글로벌 경쟁력 제고


지배구조 투명성과 상법 개정 수혜 기대

  • 자사주 비중 높은 지주사 구조

  • 자사주 소각, 집중투표제, 전자주총 등 상법 개정 시 가치 재조명 가능


LS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두산

1. 기업 개요

두산그룹은 1896년 창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근대적 기업으로, 중공업, 에너지, 수소, 디지털 장비 등에서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는 대표적인 중후장대 산업 그룹입니다.
지주사인 (주)두산을 중심으로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두산퓨얼셀, 두산로보틱스 등의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구조조정을 통해 핵심 사업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계열사 및 내용
에너지/플랜트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 화력, 수소터빈, 풍력 등 에너지 플랜트 EPC 및 기자재
건설기계 두산밥캣: 소형 건설기계(굴삭기, 로더 등) 글로벌 점유율 상위권
연료전지 두산퓨얼셀: 발전용 고체산화물연료전지(SOFC), 수소연료전지 기술 개발 및 공급
로봇/산업자동화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제조 및 글로벌 시장 확대 중
지주회사 (주)두산: 자체 사업(모트롤, 디지털솔루션 등) 및 자회사 지분 관리 역할 수행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SMR(소형모듈원전)·수소터빈 사업 강화

  • 두산에너빌리티 중심으로 SMR, 수소발전, 해상풍력 등 차세대 에너지 전환 주도

  • 정부 및 글로벌 원전 수출 확대 기조에 따라 중장기 수혜 전망


두산로보틱스 상장 및 협동로봇 확장

  • 2023년 코스피 상장 후, 협동로봇 시장 확대 및 AI 로봇 융합 기술 개발 중

  • 美·EU 등 선진국 시장 진출 가속


건설기계 안정 성장

  • 두산밥캣, 북미·유럽 시장 회복에 따라 실적 견조

  • 전동화·친환경 장비 개발도 진행 중


구조조정 마무리 및 재무 건전성 확보

  • 클럽모우, 두산중공업 등 재무부담 요인 정리

  • 자체사업 효율화 및 자산 매각으로 재무 안정화 완료


두산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SK스퀘어 

1. 기업 개요

SK스퀘어(주)는 2021년 11월, SK텔레콤에서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ICT(정보통신기술) 투자 전문지주회사입니다.
SK텔레콤이 통신 사업에 집중하는 동안, SK스퀘어는 반도체·미디어·커머스 등 비통신 영역의 신성장 산업을 주도하고 있으며, SK하이닉스의 최대주주로서 핵심 투자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내용
반도체 SK하이닉스: 메모리 반도체 세계 2위, AI 반도체 기술 및 M&A 확대
미디어/콘텐츠 SK브로드밴드, WAVVE, ONE Store 등 보유, 콘텐츠 및 OTT 투자 확대 중
커머스/핀테크 11번가, 티맵모빌리티, 콘텐츠웨이브, 투넘버 등 ICT 기반 플랫폼 사업
투자·지주회사 ICT 자회사 지분 관리, 신성장 산업 발굴 및 육성, 투자 수익 창출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반도체 중심 투자 확대

  • SK하이닉스의 HBM, AI 반도체 등 고부가 메모리 수요 증가에 따른 실적 기대

  • 팹리스 및 반도체 IP 기업 인수 검토, 반도체 밸류체인 내 재편 전략 강화


AI·데이터센터·클라우드 연계

  • 하이퍼스케일 AI 수요에 맞춰 데이터센터 투자 및 AI 반도체 협력 확대

  • AI 인프라 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 검토 중


자회사 IPO 및 가치 제고

  • 11번가, ONE Store, SK쉴더스 등 비상장 자회사의 기업공개(IPO) 계획 보유

  • 자회사 가치 재평가 및 투자 수익 실현 전략 병행


지배구조 단순화·상법 개정 수혜 기대

  • SK스퀘어는 저PBR 지주회사로서 자사주 소각·전자투표제 등 상법 개정 수혜 가능

  • SK그룹의 지배구조 재편과 맞물린 중장기 전략적 위치 확보


SK스퀘어 실시간 차트보러가기

원익홀딩스 

1. 기업 개요

원익홀딩스(주)는 2006년 원익그룹의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되면서 설립된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중심의 투자 전문 지주회사입니다.
주요 자회사들이 반도체 장비, 소재, 가스 등 다양한 부품 및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과의 거래를 통해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이차전지·바이오 등 비반도체 산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어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내용
반도체 장비/소재 원익IPS, 원익QnC, 원익머트리얼즈 등 통해 장비, 가스, 세라믹 부품 등 공급
디스플레이 삼성디스플레이 등에 OLED 공정장비 공급, 장비 자동화 솔루션 제공
이차전지/신사업 원익피앤이 중심의 이차전지 검사 장비 공급 및 친환경·신에너지 사업 확대
바이오/헬스케어 원익헬스케어 통해 헬스케어 유통 및 바이오 장비 부문 진출, 글로벌 기업과 협업 확대
투자·지주회사 그룹 자회사 지분 보유 및 관리, 전략적 M&A를 통한 기업가치 제고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반도체 슈퍼사이클 수혜 기대

  • 삼성전자·SK하이닉스의 HBM, DDR5 등 고성능 메모리 투자 확대로 장비 수요 증가

  • 원익IPS, 원익QnC 실적 개선 → 그룹 전체 이익 기여도 상승


이차전지 신사업 본격화

  • 원익피앤이 중심의 2차전지 검사장비 매출 증가세

  • 주요 배터리 고객사 확보를 통해 안정적 매출 구조 확보


바이오/헬스케어 시장 진출

  • 원익헬스케어, 해외 의료기기 브랜드 유통 확대 및 병원 솔루션 강화

  • 코로나 이후 헬스케어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 선점 전략


자회사 가치 재평가 + 상장 전략

  • 원익머트리얼즈 등 일부 자회사 상장 이슈 지속

  • 핵심 자회사들의 실적 개선 → 지주사 가치 상승 연결


배당 매력 및 저평가 지주회사

  • 지주회사 할인을 반영한 저PBR 주가

  • 지속적인 배당 정책 + 자사주 매입 통해 주주가치 제고


원익홀딩스 실시간 차트가기

영원무역홀딩스

1. 기업 개요

영원무역홀딩스(주)는 2009년 영원무역에서 인적분할되어 설립된 지주회사로, 패션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ODM(제조자개발생산) 전문기업인 영원무역의 최대주주입니다.
주요 자회사들은 글로벌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에 의류를 공급하며, 미국, 유럽 등 해외 거래처 비중이 매우 높아 수출형 기업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패션 제조를 넘어 친환경 섬유·물류·소재 개발 등 ESG 기반의 수직계열화해외 부동산·에너지 사업 투자도 일부 병행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사업 분야

부문 주요 내용
패션 OEM/ODM 영원무역을 중심으로 글로벌 아웃도어·스포츠 브랜드 의류 위탁생산 (노스페이스, 파타고니아 등)
소재·섬유 사업 자체 섬유·소재 연구 및 개발, 기능성 원단·친환경 섬유 생산 확대
물류/운송 인프라 글로벌 SCM 최적화, 자체 물류 네트워크 및 생산시설 운영 (방글라데시, 베트남 등)
투자·지주회사 영원무역 및 자회사 지분 보유, 배당 수익 창출 및 해외 자산(에너지·부동산 등) 투자 병행




3. 최근 이슈 및 성장 전략

글로벌 아웃도어 수요 회복

  • 팬데믹 이후 레저·캠핑 문화 확산에 따른 아웃도어 의류 수요 증가

  • 노스페이스·파타고니아·Lululemon 등 주요 고객사 수주 회복세


OEM → ODM 고도화 전환

  • 단순 생산에서 벗어나 설계·소재 개발까지 포함하는 ODM 모델 강화

  • 브랜드 맞춤형 디자인 및 기능성 제품 개발 역량 확보


친환경·ESG 트렌드 수혜

  • 리사이클 섬유·탄소 저감 원단 등 친환경 제품 확대

  • 글로벌 브랜드들과 ESG 기준 충족 계약 체결 지속


배당 매력 높은 가치주

  • 꾸준한 실적과 높은 배당성향(30% 이상) 유지

  • 저PBR, 저PER 기반의 가치주 매력 부각


부동산/에너지 등 비핵심 자산 가치 보유

  • 해외 부동산 투자자산 및 일부 에너지 투자 자회사 보유

  • 보수적 회계 탓에 장부가치보다 잠재 자산가치 고평가 여지


영원무역홀딩스 차트보러가기










다음 이전

POST ADS1